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19

신경계-뇌 사람의 신체는 엄청난 수의 세포 또는 조직이 모여 만들어진 복잡한 공동체로, 질서 있는 생명 활동을 유지하기 위해서 신체의 각 부 조직이나 기관들이 연락하고 조절하는 장치가 필요하다. 이 기능을 담당하는 것이 내분비선과 신경계이다. 신경계는 전신에 그물처럼 퍼져서 임펄스에 의한 신경섬유의 흥분 전도, 효과기나 다른 신경원에 대한 흥분 전달에 의해 각 조직이나 기관의 활동을 통제, 조절하고 있다. 대부분의 신경원체는 신체 내에서 가장 견고하게 보호되는 장소, 즉 두개강과 척주관 속에 들어 있다. 두개골 속에 있는 것이 뇌, 척주관 속에 있는 것이 척수이다. 뇌와 척수는 신경계의 기능적 중심이므로 중추신경계라 한다. 반대로 뇌와 척수로부터 나와 전신에 분포함으로써 신체 각 부분을 연락하고 있는 신경계를 말초.. 2023. 9. 5.
골격근- 상,하지 근육 * 상지의 근육 : 상지 근육은 완신경총의 가지를 받는다. 상지연결대 근육은 쇄골과 견갑골 주변, 즉 견관절의 운동에 관여한다. 상완 및 전완의 근육은 앞면에 있는 굴곡근과 뒷면에 있는 신전근으로 나뉜다. 1. 상지 연결대의 근육 ‘삼각근’은 어깨의 둥근 부분을 형성하는 근육으로 견갑극, 견봉 및 쇄골에서 기시하여 상완골의 삼각근 조면에 정지한다. 견관절 상완을 굴곡, 신전, 외전 및 내측 회전시키는 주동근으로, 상지의 근육주사 부위이다. 그 밖에 극상, 극하, 소원, 대원, 견갑하근 등의 근육은 모두 견갑골과 상완골을 연결하고, 상완의 운동에 관여한다. 2. 상완의 근육 ‘상완이두근’은 견갑골에서 기시하여 상완의 앞쪽을 따라 내려와서 요골 조면에 정지하며, 이른바 알통을 만드는 근육이다. 주작용은 주관.. 2023. 9. 4.
골격근- 몸통 근육 * 등 근육 : 천배근군은 척주와 상지를 연결하여 상지의 운동에 관여하며, 경신경총 및 완신경총의 가지를 받는다. 중간배근군은 늑골의 운동에 관여하며, 늑간신경을 받는다. 심배근군은 척주를 움직이고, 척수신경의 후지를 받는다. 1. 천배근군 ‘승모근’은 부신경과 경신경총의 가지를 받고, 극돌기에서 기시하여 견갑극 및 쇄골에 정지한다. 작용도 좌우 견갑골을 척주 쪽으로 움직여서 가슴을 펴는 운동이다. ‘광배근’은 흉추 , 요추의 극돌기와 천골, 흉요근막, 장골능에서 기시하여 상완골의 소결절능에 정지하고, 상완을 후 내측으로 당겨 상완의 내전과 내측 회전을 담당한다. 특히 수영, 등산, 노젓기 등에서 팔을 뒤로 잡아당기는 데 관여하기도 한다. ‘ 능형근’은 승모근의 하층에 있으며, 작용은 견갑골을 내상방으로.. 2023. 9. 4.
골격근 -골격근 형상과 머리 근육 1. 골격의 형상 골격근은 근세사가 결합조직에 의해 먼저 제1차적인 근원섬유 속이 만들어지고, 다시 근속이 결합조직으로 묶여 만들어지고 있다. 근육의 표면을 직접 사고 있는 결합조직막을 근외막, 근속을 싸는 결합조직막을 근내막이라 한다. 근육 또는 근육군의 표면을 싸는 결합조직막은 근막이라 하지만, 근막이 근육의 표면에 밀착되어 있을 때는 근외막과 구별되진 않는다. 천근막은 전신에서 피부밑층과 근육층을 경계 짓고 있다. 근육은 대부분이 관절에 걸쳐 있으며, 그 양쪽 뼈에 부착되어 있지만, 일부는 관정낭이나 피부에 부착되어 있는 것도 있다. 부착부위 중에서 근육의 수축에 의해 움직이기 쉬운 쪽을 정지, 잘 움직이지 않는 쪽을 기시라 한다. 대개 기시가 신체 근위부에 위치한다. 근육이 수축할 때 위치가 고정.. 2023. 9.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