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19

뼈의 성장과 연결 방식 뼈는 태생기에 발생이 시작돼 성인이 되면 대체로 성장이 끝나게 된다. 뼈조직은 어느 곳에서 발생하든지 간에 처음에는 섬유막 혹은 연골 내에서 골침의 형태로 나타난다. 뼈를 형성하는 골 모세포는 간엽조직에서 분화하는데, 이 세포는 세포질 돌기가 많은데 공양 조직을 합성하며 부수적으로 석회화에도 관여한다. 석회화 조직은 커져서 골침을 형성하며, 침을 둘러싸는 골세포로 되며, 따라서 세포체가 높이는 소강, 세포질 돌기가 높이는 세관 등의 구조가 형성된다. 파골세포는 혈액 내의 단핵구에서 유래한 것으로 형성된 뼈조직을 적당히 흡수한다. 이 세포는 골 모세포와 함께 뼈의 성장 및 내부 구조 형성에 관여한다. 이러한 뼈의 형성은 환경에 따라 막내골화와 연골내골화로 나눌 수 있다. -막내골화: 이것은 막을 형성하는 .. 2023. 9. 1.
골격의 기능과 구조 인체의 지지장치인 골격은 약 206개의 뼈 및 이와 관련된 연골들로 이루어지며, 대체로 둘 이상의 뼈는 인대 등의 결합조직에 의해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관절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골격근은 운동에 필요한 에너지 공급원이면서 저장된 화학 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전환 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뼈는 신체의 지지 역할을 하며, 체중의 약 15%를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단단한 구성과는 달리 뼈는 살아있는 조직이다. *골격의 기능 1. 지지 작용: 골격은 신체의 견고한 지지 장치이며 신체의 대체적인 외형을 결정한다. 2. 보호직용: 체강의 기초를 만들고 내부 장기들을 보호한다. 두개강 속에는 뇌가, 척주관은 척수가, 흉강 속에는 흉부 내장을, 골반강 속에는 골반 내장들이 들어 있다. 3. 지렛대 역할: 부착된 근.. 2023. 9. 1.
혈액- 백혈구와 혈소판 백혈구는 적혈구보다 약간 크고 핵을 가진 세포로 구슬 모양이 많지만 일정한 것은 아니다. 백혈구의 수는 남녀의 차가 없고, 성인은 혈액 1mm 속에 약 7,000개이다. 백혈구를 특수한 색소로 염색하면, 형태나 염색상태에 따라 호중성 백혈구, 호산성백혈구, 호염기성백혈구 등 과립백혈구와 림프구, 단해구 등 두 가지의 무과립백혈구를 합쳐서 다섯 종류로 구별된다. * 백혈구의 종류 1. 과립성 백혈구 : 호중성,호염기성, 호산성 백혈구들을 염색해 보면 세포질 속에 각기 다른 색소에 잘 염색되는 과립을 볼 수 있으며, 핵은 엽상으로 되어있다. 과립성 백혈구는 식세포작용을 하는데, 급성 감염 시에는 호중성 백혈구의 수가 급증하며, 혈관 밖으로 유출되어 감염된 조직에 모이게 된다. 호염기성 백혈구는 항응고제인 헤.. 2023. 9. 1.
혈액- 혈구와 혈장 그리고 적혈구 혈액을 한방울 채취해 현미경으로 확인하면, 묽은 황색 액체 속에 세포가 많이 떠있는 것을 확인 할수 있다. 이 액체를 ‘혈장’ 이라고 하고 , 세포를 ‘혈구’‘라고 한다. 이 혈구에는 적혈구와 백혈구 및 혈소판 등이 있고, 대부분 적혈구가 있다. 혈액을 시험관에 채취하여 잠시 두면, 혈액 전체가 덩어리가 되는 데 이를 ’혈병‘이라고 한다. 시간이 더욱 경과하면 이 혈병이 점차 축소되어 그 속에서 노란 액체가 흘러나오는 데, 이 액체를 혈청이라고 한다. 이상이 혈액응고 과정이다. 혈장과 혈청의 다른 점은, 혈장 속에는 응고되는 성질이 있는 섬유소원이라고 하는 단백질이 함유되어 있으나 혈청에는 없다. 따라서 혈청은 응고하지 않는 다는 외에는 성분이 거의 같다. 혈액의 량은 체중의 약 1/12~1/13이다. .. 2023. 9.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