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19

골격계 해부- 하지 뼈 하지 골격은 양측에서 모두 62개의 뼈로 이루어진다. 하지를 몸통에 결합하는 하지대의 뼈로서 대퇴부에는 관골이 있다. 자유 하지의 뼈로서 대퇴부에는 대퇴골 및 슬개골이 있고, 하퇴부에는 경골과 비골이 있으며, 발에는 손과 마찬가지로 족근골, 중족골 및 지골로 구분한다. 2. 관골 : 관골은 외측 면에 깊은 관골구가 있어, 대퇴골과 함께 고관절을 형성한다. 위 바깥쪽으로 펼친 장골익의 상연을 장골능이라 하고, 장골능 앞쪽 끝은 상전장골극이라 하며, 의자에 앉았을 때 바닥에 닿은 돌출부를 좌골결절이라고 하고, 관골구 앞쪽에 있는 구명을 폐쇄공이라 한다. 좌우 관골은 그 후방에 천골과 미골에 이어져서 골반을 이룬다. 관골은 전체적으로 편평하고 불규칙한 모양의 커다란 뼈이다. 관골은 사춘기까지 장골, 좌골, 치.. 2023. 9. 3.
골격계의 해부 - 상지골 *흉곽: 12개의 흉추, 좌우 12쌍의 늑골 및 1개의 흉골 등이 모여서 형성되며, 흉강을 이루어 그 속에 심장, 폐, 기관, 기관지, 식도 등의 중요한 장기들을 보호하고 있다. 1. 늑골 : 늑골은 뒤쪽에서 흉추와 함께 늑추관절을 형성한다. 이관절의 운동에 의해서 늑골이 당겨지면 흉곽의 용적이 커진다. 늑골의 앞쪽은 늑연골로 되어있고, 재 1늑골부터 제7 늑골까지의 7쌍은 흉늑관절에 의해서 직접 흉골에 연결되어 있다. (진늑골) 제 8~10늑골은 그 위쪽의 제7 늑연골에 의하여 흉골과 관절하고 있고, 좌우의 늑골궁을 형성한다.(가성늑골). 이는 흉부 및 복부를 촉진할 때 이용된다. 제 11~12늑골은 짧고, 앞쪽 끝은 흉골과 직접 관절하지 않고 떠 있기 때문에 부유늑골이라 부른다. 각 늑골 사이는 늑간.. 2023. 9. 3.
골격계 해부- 척주와 골반 척주 vertebral column는 7개의 경추, 12개의 흉추, 5개의 요추, 5개의 천추, 3~5개의 미추 아래위로 겹쳐진 척주를 세로로 관통하는 척주관 속에는 척수가 들어 있다. 천추는 융합되어 하나의 천골을 만들고, 미추는 일반적으로 1개의 미골로 융합되어 있다. 척주의 경부와 요부는 전만( 앞쪽으로 오목하게 구부러짐) 되어 있고, 흉부와 천골부는 후만( 뒤쪽으로 볼록하게 구부러짐) 되어있고, 천골의 앞쪽으로 돌출되어 갑각을 이룬다. 흉부 만곡과 천부만 곡을 1차 만곡, 경부만 곡과 요부 만곡을 2차 만곡이라고 한다. 이와 같은 만곡 때문에 사람은 직립상태에서도 몸의 균형을 쉽사리 잡을 수가 있다. 척주의 운동성은 경부가 가장 크고, 요부가 그다음, 흉부가 가장 작다. 1. 추골 Vertebra.. 2023. 9. 1.
골격계 해부- 두개골(Skull) 성인의 골격은 약 206개의 뼈로 구성되는데, 이 수는 흔히 부골이 있기 때문에 변이가 있을 수 있다. 골성 골격은 편의상 머리, 목, 몸통을 이루는 체간 골격과 사지를 이루는 사지골격으로 분류한다. 그중 두개골에 대해 설명해보려 한다. 두개골은 15종 23개의 뼈로 구성되어 있다. 두개강을 둘러싸는 부분을 뇌두개골, 얼굴을 형성하는 부분을 안면두개골이라 한다. 뇌두개골은 뇌와 시각, 청각 및 평형감각에 관계되는 기관들을 보호하고 지지하며, 안면 두개골은 안와, 비강, 구강 등의 기초를 이루며 몸통골격의 최상부를 형성한다. * 두개골 상면(두 개관) : 이 것은 두개강의 천장을 이룬다. 전두골과 두정골 사이에 관상봉합, 좌우 두정골 사이에는 시상봉합, 두정골과 후두골 사이에는 람다봉합이 형성되어 있다. .. 2023. 9.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