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신경은 뇌로부터 시작되는 말초신경이며, 두개골의 작은 구멍들을 통과하여 주로 머리와 얼굴에 분포하고 운동과 감각을 관장한다. 척수신경과 뇌신경을 합쳐서 체성신경이라 하며, 이에 대해 자율기능을 관장하는 말초신경을 자율신경이라 한다.
뇌신경 속의 감각신경은 척수신경과 마찬가지로 중추신경 외부에 신경세포의 집단을 가지고 있다. 이것을 신경절이라 한다. 뇌신경을 1부터 12까지 번호가 붙어 있는 12쌍의 신경으로 구성되어 있다.
1. 후신경 (제1 뇌신경): 후각을 전달하는 신경이며, 후각점막부터 시작해 후구까지 간다. 뇌신경 중에서 가장 짧은 신경이다.
2. 시신경(제2 뇌신경): 시각을 전달하는 것이며, 망막신경절세포의 축삭돌기로 이루어진다. 시신경교차에 있어서 망막의 내측에서 기시하는 섬유는 좌우의 것이 서로 교차하지만, 외측에서 기시하는 섬유는 교차하지 않는다. 시신경교차를 지난 부분은 시삭이라고 하고, 대부분은 외측슬상체에 이르고 일부는 상구에 이른다.
3. 동안신경(제3 뇌신경): 안구를 상하, 내방 및 외상방으로 돌리는 안구운동과 상안검을 올리는 운동을 지배한다. 또 동공을 축소시키고, 모양체근을 수축시켜 수정체의 초점거리를 짧게 하는 부교감신경도 포함된다.
4. 활차신경(제 4신경) : 안구를 외측 아래로 당기는 근육을 지배한다. 뇌신경 중 가장 작은 신경이다.
5. 삼차신경(제5뇌신경): 얼굴과 머리 앞면의 감각신경, 저작근을 지배하는 운동신경이 혼합된 것으로, 뇌신경 중에서 가장 큰 것이다. 교뇌로부터 나오면 곧 삼차신경절을 만들고, 안신경, 상악신경, 하악신경의 세 가지로 갈라지므로 이런 명칭이 붙었다. 운동신경은 모두 하악신경에 들어있다.
6. 외전신경(제6뇌신경): 안구를 외전 시키는 근육을 지배한다.
7. 안면신경(제 7뇌신경): 얼굴의 표정근을 지배하고, 또 혀의 앞쪽 2/3의 미각, 그리고 침이나 눈물 분비도 관장한다. 미각섬유와 타액선의 분비를 지배하는 부교감섬유는 운동섬유와 별개의 뿌리를 가지고 뇌에서 기시 한다. 이것을 중간신경이라 한다.
8. 전정와우신경(제 8뇌신경): 내이신경이라고 하며, 청각과 평형감각에 관여하는 섬유가 포함된다. 청각은 내이의 와우관에서 기시하는 와우신경이며, 평형감각은 내이의 반규에 있는 평형반과 팽대부에서 기시하는 전정신경이다.
9. 설인신경(제9 뇌신경): 혀와 인두에 분포하는 혼합신경이며 혀의 뒤쪽 1/3의 미각, 인두 및 경동맥동의 감각, 인두근의 운동을 관장한다. 또 이하선 분비신경도 혼합되어 있다.
10. 미주신경(제 10뇌신경): 운동, 감각 및 부교감 신경이 혼합된 것이며, 측경부에서 흉강과 복강에 까지 하행하여 내장의 지각과 운동 및 분비를 지배하고 있다. 즉 구개, 인두, 후두의 운동을 관장하며, 후두, 기관, 기관지, 폐, 심장, 대동맥, 위장, 간, 비장, 신장에 부교감섬유와 감각섬유가 분포한다. 골반 내 장기에는 분포하지 않는다.
11. 부신경(제11뇌신경): 연수에서 기시한 신경섬유는 경정맥공을 나오면 곧 미주신경에 혼합되어 구개근과 인두근의 분지가 되고, 척수에서 나온 신경섬유는 흉쇄유돌근과 승모근을 지배한다.
12. 설하신경: 설하면에서 여러 개의 가지를 설근에 분포하여 혀 근육을 지배하고, 혀의 운동을 관장한다.
*자율신경
말초신경계에는 운동이나 감각을 관장하는 체성신경계 외에 자율신경계라고 하는 신경계가 있다. 이것은 심장, 소화기, 혈관, 타액선 등과 같이 의지와는 관계없이 내장장기의 운동이나 분비를 자동적으로 조절하는 신경이다. 자율신경계에는 교감신경과 부교감 신경의 두 종류가 있으며, 대부분의 내장장기는 두 가지가 다 분포되어 있다. 두 신경이 작용은 서로 길항적이며, 한쪽 신경이 그 내장장기의 활동을 촉진하도록 작용할 때 다른 한쪽의 신경은 반대로 억제되도록 작용한다. 예를 들면, 심장에도 두 신경이 분포되어 있어서 교감신경이 작용하면 심박수가 증가하고, 부교감신경이 작용하면 심박수가 감소한다. 이들 두 신경의 평형에 의해 내장의 작용이 조절된다.
자율신경은 모두가 원심성 신경이며, 구심성 신경은 없다. 또 체성신경과는 달리 중추신경을 나와서 목적하는 장기에 도달하기 전에 반드시 한 번은 신경원을 교체하고 있다. 이 교체 부위를 신경절이라 한다. 중추신경으로부터 신경절까지의 섬유를 절전섬유, 신경절에서 장기까지의 절후섬유라 한다. 자율신경의 작용을 이해하는 것은 각 장기의 기능을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1. 교감신경
척수의 흉수와 요수에서 나와서, 척수 양쪽에 있는 교감신경절로 들어간다. 교감신경절은 상하가 염주처럼 한쌍의 줄, 교감신경 간을 교감신경 간을 만들고 있으며 전신의 교감신경 간을 통해 분지 되어 있다.
-작용: 심장에 대해서 심장박동수 및 박출량의 증가 등 심장 기능을 촉진하고, 혈관에 대해서는 혈관평활근의 수축을 촉진해 혈압을 높이지만, 관상 혈관과 골격근 내의 혈관은 반대로 확장되어서 심장이나 골격근에 영양을 공급하는 혈액의 양을 증가시킨다. 또 기관, 소화관의 근육을 이완시켜 소화액의 분비를 억제한다. 그 밖에 동공을 산대시 키며, 땀의 분비를 촉진하고 배뇨를 억제하고, 입모근을 수축시킨다.
2. 부교감신경
중추는 두부와 천수로 나뉘어 있다. 중뇌에서 나오는 동안신경이나 연수에서 나오는 안면신경 및 미주신경 속에는 교감신경이 혼합되어 있고, 그 밖에 천수에서는 골반내장신경이 나와 있다.
- 작용: 동안신경 속을 지나는 부교감 신경은 동공을 축소하고, 모양체근을 축소해 수정체를 부풀게 하는 기능을 하고 있다. 골반 내장신경은 골반 내 장기에 분포하며, 하행결장, 직장, 방광근의 수축을 촉진한다. 교감신경과 반대로 심장억제, 혈관 확장 기관과 소화관의 근육수축, 소화액 분비를 촉진하고 배뇨를 촉진한다.
3. 자율신경과 화학전달물질
교감신경 작용이 나타나는 것을 교감신경의 말단으로부터 전달물질인 noradrenaline이 방출돼 그것이 장기에 작용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아드레날린 작동성 신경이라고도 한다. 반대로 부교감신경 말단에서 방출되는 전달물질은 acetylcholine이므로, 부교감신경을 콜린 작동성 신경이라고도 한다
4. 자율신경에 대한 고위 중추의 작용
자율신경계의 중추는 중뇌, 연수, 척수에 있으나 이들 중추를 통합하고 있는 상위 중추가 간뇌에 있으며, 그 중추에 의해서 전신의 교감신경, 부교감신경이 조화를 이루고 있다. 또한 대뇌 피질에도 자율신경의 중추와 연락하는 부위가 있으므로, 체성신경계와도 관련 있다고 할 수 있다.
카테고리 없음
신경계-뇌신경
반응형
반응형